코드 훔쳐보는 변태 코더
춤 좋아하는 백엔드 개발자(였으면 좋겠다)
22-12-15 TIL

오늘 진행한 것들 🤔

  • 해쉬 자료구조 정리
 

해쉬 자료구조에 대해서 알아보자 🤔

해쉬테이블 🤔 키에 데이터를 맵핑할 수 있는 데이터구조이다. 키와 값을 어떻게 맵핑할까? → 해쉬 펑션에 키를 넣으면 키를 저장할 수 있는 주소를 리턴을 해준다.(인덱스) 해당 주소에 키에

codinghentai.tistory.com

  • 시간 복잡도 정리
 

시간복잡도에 대해서 쉽게 이해해보자 🤔

알고리즘 복잡도 표현 방법 🤔 어떤 문제를 풀이하는데 완벽하게 똑같은 코드는 존재하지 않으나 어떤 풀이가 좋은 풀이냐 ? 라는 기준을 표현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이다. → 어느 알고리즘이

codinghentai.tistory.com

  • 해쉬 자료구조 알고리즘 문제 풀이
 

백준 1764번 듣보잡 (자바)풀이

문제 김진영이 듣도 못한 사람의 명단과, 보도 못한 사람의 명단이 주어질 때, 듣도 보도 못한 사람의 명단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듣도 못한 사람의 수 N, 보도 못한

codinghentai.tistory.com

 

백준 2910번 빈도 정렬 (자바) 풀이

문제 위대한 해커 창영이는 모든 암호를 깨는 방법을 발견했다. 그 방법은 빈도를 조사하는 것이다. 창영이는 말할 수 없는 방법을 이용해서 현우가 강산이에게 보내는 메시지를 획득했다. 이

codinghentai.tistory.com

  • 스프링 부트 게시판 Article/ArticleComment 도메인 리팩터링
    •  게시글 조회 시에 민감한 정보가 포함되지 않도록 수정 (account dto 제외시킴)

  • Article Service 테스트 코드 작성

  • 그룹스터디 워크숍 준비 (발표자료 수정 및 모의 발표 진행)

 

오늘의 배운 점 🤔

  • 해쉬 자료구조에 대해서 공부했습니다. 왜 프로젝트 강의에서 강사들이 데이터 저장을 위한 자료구조로 해쉬 셋을 사용하는지 알게 되었습니다.
    • 해쉬 맵을 활용하고 싶은 마음이 생겼습니다. 레디스를 연동시켜보면 될까요? 🤔
    • Repository는 어떤 자료구조로 구현되어있는지 궁금해졌습니다. 한번 찾아봐야겠습니다.
  • 시간 복잡도에 대해서 공부했습니다.
    • 사람들이 그렇게 말하던 시간 복잡도가 무엇인지 드디어 알게 되었습니다. 생각보다 어렵지 않았습니다.
    • 시간 복잡도라는 개념을 이해하고 문제를 풀이하니 자연스럽게 해당 코드가 얼마나 오래 걸리지 머릿속으로 그려지게 되었습니다. 🤔
      • 공간 복잡도는 디테일하게 공부하지 못했지만 대충 해쉬 자료구조 같은 것들을 공부하면서 느껴보니 체이닝 기법 같은 오픈 해슁 기법 같은 경우에 메모리 초과가 발생할 수 있겠다..라는 생각이 듭니다. 🤔
  • 테스트 코드를 오랜만에 작성해보았습니다.
    • 전에는 Inject Mock과 Mock 이 무슨 역할인지 몰랐으나 지금은 이해가 됩니다. 제대로 알지 못했지만 꾸준히 테스트 코드를 조금씩이라도 작성해온 보람이 있습니다.
    • 하지만 연관관계 맵핑이 되어있는 엔티티에 대해서 테스트코드를 작성할 때 유연하지 못한 느낌이 듭니다. 해당 서적을 읽어봐야겠습니다.
  • 리팩터링을 진행했습니다.
    • 기존에 문제라고 생각했던 부분이 있었습니다. 프로젝트 내에서 response request dto를 적극적으로 생성하여 사용하지 않고 dto를 통짜로 사용해왔습니다.
      • 해당 부분에 대해서 조회 부분에는 response를, 삽입 부분에는 request를 사용해 확실히 분리를 해뒀습니다.
      • 전체적으로 코드가 더러웠던 부분 중에 공통부분을 빼버리고 핵심 로직은 최대한 코드의 깊이가 깊어지지 않도록 리팩터링을 진행했습니다. 
        • 이제 누구한테 제 프로젝트를 보여줄 수 있겠다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물론 작성해야 하는 테스트 코드가 한 무더기입니다. 🤔
  • 그룹스터디 워크숍 발표를 준비했습니다.
    • 자료를 보면서 아직 2달도 안됐지만, 저희 그룹원들이 얼마나 많은 성장을 했는지 , 그리고 저 또한 얼마나 많은 성장을 이뤘는지 다시 한번 짚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물론 제 머릿속으로)
    • 항상 부족하다 생각했는데 되돌아보니 열심히 살아왔고 잘한 거 같아서 좀 쉬어도 되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큰일이네요 ;(
    • 모의 발표를 살면서 처음으로 진행해보았습니다. 매번 준비된 거 없이 프리스타일로 춤만 춰오다가 처음으로 가짜 상황극을 해보니 떨렸습니다. 그래도 발표는 잘할 거라 믿습니다. 🤔

 

내일도 파이팅!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12-26 TIL  (0) 2022.12.26
22-12-22 TIL  (0) 2022.12.22
22-12-21 TIL  (0) 2022.12.21
22-12-20 TIL  (0) 2022.12.20
22-12-19 TIL  (0) 2022.12.19
  Comments,     Trackbacks